메뉴닫기

향토개항문화자료관 전체메뉴

인천의 유래 및 인천 근현대사 연표

인천의 최초 명칭은 미추홀(彌鄒忽)이다. 이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등장하는 것은 고구려 장수왕 때(475)로 매소홀현(買召忽縣)이었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 때 한자식으로 바뀌어 소성현(召城縣)이 되었다.

고려 숙종(1095~1105) 때 숙종 어머니의 내향(內鄕)이었던 관계로 경원군(慶源郡)으로 개칭·승격되었다. 그 뒤 인종(1122~1146)때에 순덕왕후 이씨의 내향이라 하여 인주(仁州)로 승격되었는데 이자겸(李資謙)의 난으로 인주 이씨가 몰락하다시피 하였으나 공양왕 2년(1390)에 이르러 다시 경원부로 환원되었다.

그것은 ‘칠대어향(七代御鄕)’이라 하여 문종에서 인종에 이르는 7대 동안 고려왕실과 관련이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경원부는 다시 인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태종 13년 주(州)자를 가진 도호부 이하의 군·현 명을 산(山), 천(川) 두 글자 중 하나로 개정토록 하여 현재의 인천으로 탄생하게 되었고, 그날 (1413년 10월 15일)을 기려 ‘인천시민의 날’ 이 제정되었다.

본 저작물은 '인천광역시청'에서 '2014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인천의 유래와 연혁(작성자:문화재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광역시청, http://www.incheon.go.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2018 07.01 남구의 명칭 미추홀구로 변경
2016 07.30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
2015 04.23 유네스코 지정 ‘세계 책의 수도’로 선정
2014 09.19 제17회 아시안게임 개최
2012 10.18 인천대교 개통
2007 04.17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03.23 인천공항철도 개통
2005 08.31 제16회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개최
2003 08.05 송도, 영종, 청라 경제자유구역 지정
2001 03.29 인천국제공항 개항
1999 10.06 인천지하철 1호선 개통
1995 01.01 인천광역시 승격
1992 09.02 새얼문화재단, 우현 고유섭 선생 동상 제막
1989 07.12 월미도 문화의 거리 개장
01.01 영종, 용유, 계양면 인천직할시 편입
1988 12 화도진 복원(화도진 공원)
1984 09.15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준공
1983 07.01 개항 100주년 기념식 거행
1982 07.17 프로야구 인천경기 개막
1981 07.01 인천직할시 승격
1979 01.01 인천공과대학(인천시립대 전신) 설립 인가
1974 08.15 경인선 전철 개통
1973 09.30 인천시사(상, 중, 하 3권) 간행
1970 02.03 중학교 무시험 추첨 시행
1969 12.08 인천은행(경기은행 전신) 개점
1968 12.21 경인고속도로 개통
1966 08.14 경인간 직행버스 개통
05.18 인천시립교향악단 발족
1965 12.17 경서동 녹청자 도요지 발굴
1964 10.14 장창선 선수, 인천출신 최초로 올림픽메달 획득(은메달)
1963 06.24 송도유원지 개장
1962 08.15 새나라자동차회사, 국산 택시 생산 개시(청천동)
1961 05.16 군사쿠테타
1960 04.19 4.19 혁명
1959 07.01 경인선 제물포역 신설
1957 11.30 주안 고인돌 발견
1955 12.23 인천시민의 노래 제정
0301 제1회 인천시문화상 시상
1954 04.24 인하공과대학 개교
04.08 한미문화원(인천문화원 전신) 발족
1950 09.15 유엔군 인천 상륙
06.25 한국전쟁 발발
1949 08.15 인천부, 인천시로 개칭
1946 12.13 인천 최초의 우리말 전화번호부 발간
09.21 인천건설영화사, 영화 ‘무영의 악마’를 표관에서 상영
04.01 인천시립박물관 개관
1945 10.07 인천 최초의 우리말 신문‘대중일보’창간
08.15 광복
1941 01.14 은영회(사진예술단체) 창립
1937 08.06 수인선(인천-수원)
1934 06.30 인천공설운동장 준공(도원동)
1933 10 ‘인천부사’ 간행
1932 02.15 강도지(江都誌) 상, 하권 간행(인천 이림상회)
1927 문학리에서 고인돌
1924 05.09 한국인 경영 활동사진 상영관 ‘애관’. 외리에 개관
1919 03.06 인천공립보통학교, 인천공립상업학교 학생만세 운동
1918 10.27 인천항 도크
1917 02.26 조선인촌제조주식회사(성냥 제조) 설립
1912 05.11 기관차(모가형) 최초로 조립
1907 우리나라 최초의 천일염전 축조(주안)
1906 08.07 월미도 교량 준공
1905 제임스 존스턴 별장(인천각) 건축
1904 02.09 러시아, 일본 인천 앞바다에서 개전
1902 12.22 제1차 하와이 이민 인천항 출항
06.01 인천부 부내(府內) 전화 개통
1899 12.29 영미연초공장
09.18 경인선(인천-노량진) 개통
1897 03.22 경인선 철도 기공식 거행(우각리)
1896 11.04 답동성당 축성식 거행
1895 06.27 관립 한성외국어학원 인천지교(인천고 전신)
1893 03.12 인천영화보통학교 창립
02 ‘타운센트’ 정미소 설립
01 근대해운업 효시 이운사(기선회사) 창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