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닫기

향토개항문화자료관 전체메뉴

검색결과

'교육' 검색결과

145 개의 자료가 있습니다.
[사진으로 보는인천교육 반세기] 영화초등학교
등록번호
NBG0747
시대
2000년대
지역
동구
키워드
영화초
※저작자가 존재하는 자료입니다.※ 1) 영화초등학교 1940년대 초 2) 영화초등학교(2006년 최용백)
인천명소 인천사정소학교 전경
등록번호
NBG1718
시대
1900년대
지역
중구
키워드
신흥초,인천공립심상소학교,인천사정소학교
개항 초 일본인 자녀들을 위해 설립된 학교로 1885년 10월부터 동본원사(東本願寺)라는 절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19313년 인천공립심상소학교, 1941년 인천욱공립국민학교(仁川旭公立國民學敎)가 되었다가 지금의 신흥초등학교가 됐다.
2024년 길 위의 인문학 사진: 흔적의 노래 : 인천의 역사와 기억을 담은 이야기
등록번호
NBG1765
시대
2000년대
지역
키워드
2024년 길 위의 인문학 강좌 「사진으로 기록하는 아카이빙-흔적의 노래 : 인천의 역사와 기억을 담은 이야기」운영으로 인한 결과물입니다. 자세한 내용·사진 확인은 『(2024년 인천광역시교육청화도진도서관) 사진으로 기록하는 아카이빙 : 흔적의 노래 : 인천의 역사와 기억을 담은 이야기. 2』 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도서 위치: (향토자료실) 향911.55-사진으인2
2023년 읽고 걷고 쓰는 마을 아카이빙
등록번호
NBG1764
시대
2000년대
지역
키워드
2023년 마을교육공동체 지원 사업 「읽고 걷고 쓰는 마을 아카이빙」을 통해 축적된 중·동구 관련 자료입니다.
2023년 길 위의 인문학 사진: 오래된 미래, 함께 만드는 새로운 과거
등록번호
NBG1763
시대
2000년대
지역
키워드
2023년 길 위의 인문학 강좌 「사진으로 기록하는 아카이빙-오래된 미래, 함께 만드는 새로운 과거」 운영으로 인한 결과물입니다. 자세한 내용·사진 확인은 『(2023년 인천광역시 교육청 화도진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강좌) 사진으로 기록하는 아카이빙 : 오래된 미래, 함께 만드는 새로운 과거. 1』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도서 위치: (향토자료실) 향911.55-사진으인1
2022년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
등록번호
NBG1589
시대
2000년대
지역
중구
키워드
2022년 마을교육공동체 지원 사업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을 통해 축적된 중·동구 관련 자료 자세한 내용·사진 확인은 『2022 마을 아카이빙 사진집-중구.동구-』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도서 위치: (향토자료실) 향688-인천광마1
2021년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
등록번호
NBG1588
시대
2000년대
지역
중구
키워드
2021년 마을교육공동체 지원 사업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을 통해 축적된 중·동구 관련 자료 자세한 내용·사진 확인은 『2021년 마을 아카이빙 사진집 : 중구.동구』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 해당 도서 위치: (향토자료실) 향688-인천광마
조선철도노선안내(朝鮮鐵道路線案內)
등록번호
OLG139
시대
1900년대
지역
키워드
철도
발간일 : 1911년 5월 3일 발행처 : 조선총독부철도국 인 쇄 : 동경인쇄주식회사 한일병합 직후 조선의 철도정책을 총괄하던 조선총독부철도국에서 발간한 서적이다. 당시 한반도에 부설되었던 철노 노선을 망라하고 각 노선에 설치했던 역의 개요를 빠짐없이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큰 책이다. 1905년 개통된 경부선과 경의선을 본선으로, 본선에서 분기하는 나머지 철도를 지선으로 표기한 것이 특징이다. 경부선 삼랑진역에서 마산역까지 이어지는 마산지선(1905년 개통, 훗날 마산선)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였던 경인선(1899년 개통)을 경부선의 지선으로 보고 인천지선이라 표기하였다. 경의선의 지선으로는 황해도 황주와 겸이포를 잇는 겸이포지선(1905년 개통, 훗날 송림선)과 평양과 진남포 사이의 진남포지선(1910년 개통, 훗날 평남선)이 있었다. 이 책은 경부본선, 경의본선, 마산지선, 인천지선, 겸이포지선, 진남포지선의 순으로 각각 노선에 설치되었던 모든 역과 역 소재지의 상황을 기술하고 있다. 각 노선별로 경부본선에 44개, 경의본선에 45개, 마산지선에 5개, 인천지선에 6개, 겸이포지선에 1개, 진남포지선에 4개 등 모두 108개의 역을 망라하고 있다. 각 역마다 역이 위치한 행정구역과 종착역이나 분기역에서부터의 거리를 표기하였고, 역이 위치한 도시나 촌락의 인구, 관아, 교통, 학교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인천지선에 수록된 역은 오류동역, 소사역, 부평역, 주안역, 축현역, 인천역 등 6개 역이며, 오류동과 소사, 부평역은 각각 부평군 수탄면, 석천면, 동소정면에, 주안역은 인천부 다소면 충훈동, 축현역과 인천역은 인천부 용강정과 화방정에 속해 있었다. 이를 통해 1910년 한일병합 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까지 인천과 부평의 행정 편제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당시 인천지역의 행정구역 편제와 인구 규모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울러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 몇 개도 확인되는데 우선 부평역 항목에서 학교부분에 공립보통학교(현 부평초등학교)와 함께 군내면의 사립 계창학교(桂昌學校)가 기재되어 있는 것이 눈에 띤다. 그간 대한제국기 인천에 설립된 사립학교로 인명학교, 영화학교, 박문학교 등 인천지역의 사립학교는 어느정도 윤곽이 드러났지만, 부평지역의 사립학교는 언급된 바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군내면(지금의 계산동)에 계창학교라는 사립학교가 있었다는 것은 인천 근대 교육사 연구에 있어 큰 의미를 갖는다. (해제 : 인천도시역사관장 배성수)
현장문제 제2호
등록번호
OLG137
시대
1900년대
지역
계양구
키워드
인천교육대학 현장문제동인회지 제2호
朝鮮の敎育
등록번호
NBG1556
시대
1900년대
지역
키워드
교육 안내서나 참고서 등에 등장하는 학생은 모범적으로 묘사되었다. 두루마기 혹은 검정 교복에 각진 교모를 쓴 남학생의 모습은 당시 학생의 표본이었다. 조선의 교육현황 전반과, 도별 학교현황, 초,중,고등학교 학교 학생수 등의 내용 수록하였다.
교대부국
등록번호
NBG1317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계양구
키워드
경인교육대학부속초등학교,인천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
1957년 인천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61년 1회 졸업생을 배출하고 곧바로 사진의 신축교사를 작성했다. 1962년 초등사범교육제도가 사범학교에서 2년제 교육대학으로 바뀌면서 인천교육대학부속국민학교가 되었으며, 교육대학의 부속학교라는 명성 때문에 영재들이 모여드는 학교로 발전해 갔다. 2006년 부평구 효성동에 새 교사를 짓고 이사했다.
창영초교
등록번호
NBG1315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동구
키워드
창영초,인천부공립보통학교
1896년 인천부공립소학교로 개교한 인천 초등교육의 요람이다. 그후 인천제일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이 바뀌었으며 1936년 오늘처럼 ’창영(昌榮)’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 후 심상소학교, 국민학교 등의 이름을 거쳐 창영초등학교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인중과 제고
등록번호
NBG1311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중구
키워드
제물포고등학교,인천중,인천공립중학교
1935년 일본인 자제 교육을 위해 인천공립중학교가 문을 열었다. 이듬해 응봉산 아래 웃터골에 있는 공설운동장에 새 교사를 짓고 이사했다. 한국인도 일부 입학할 수 있었으나 극소수에 불과했다. 1945년 광복과 함께 인천중학교로 교명이 이어졌으며 가장 우수한 학생들이 입학했다. 이후 길영희(吉瑛羲) 교장이 취임, 제물포고등학교를 병설했고 이 학교는 일약 전국 최고의 명문으로 부상하였다.
영화학교 집총 훈련
등록번호
NBG1308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동구
키워드
내리교회,영화초,영화학당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교육기관이었던 영화학교는 1906년에는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북돋아주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내리교회 신자가 구입하여 기증한 나팔과 북, 구형 소총 등으로 군사훈련을 실시하여 경향 각지에 이름을 떨쳤다.
영화학교
등록번호
NBG1305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동구
키워드
내리교회,영화초,영화학당
영화학교는 1892년 3월 존스(G. H.Jones) 목사 부부가 내동 29번지 내리교회 안에 설립하였다. 한국의 초등 교육 기관으로서는 최초의 학교였다. 1900년 교명을‘영화(永化)’로 정했으며 1904년 미국 독지가의 기부금으로 벽돌 건물 교사를 신축하였다. 이 사진은 초기 영화학교 학동들과 내리교회 교인들로 구성된 운영 주체로 보인다.
인천상업중학(인상)
등록번호
NBG1304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중구
키워드
인천고,인천공립상업학교,한성외국어학교,인천일어학교,인천남공립상업학교
인상은 인천 근대교육사를 대표하는 학교였다. 고종 32년(1895) 인천외국어학교로 개교했으며 1909년 관립인천실업학교, 1912년 관립인천상업학교, 그리고 1951년 인천고등학교로 교명이 바뀌어 왔다. 인상이 율목동으로 이사한 뒤 송림초등학교 교사로 사용되다가 화재로 소실되었다.
인하공업전문학교
등록번호
NBG1301
시대
발행년 불명
지역
미추홀구
키워드
인하공전
1958년 인하공과대학 부설 직업전공교육부로 출발하였으며 그 후 유네스코의 지원을 받게 되어 유네스코부로 개칭되었다가, 고등공업전문학교를 거쳐 인하공업전문대학으로 바뀌었다. 수많은 기술인재와 산업역군을 양성했다. “리대통령각하제84회탄신기념식수”라고 적힌 건물 전면 잔디밭 수목 곁의 팻말 기둥이 이채롭다.
[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합일초등학교
등록번호
NBG0773
시대
2000년대
지역
강화군
키워드
합일초
※저작자가 존재하는 자료입니다.※ 1909년 5월 31일 합일보통학교로 개교 (4년제)한 이래 1924년 6년제로 인가되어 강화합일학교로 개칭되었다. 1935년 합일 재단법인 설립되고, 1984년 3월 1일 공립학교로 발족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87년부터 교실 및 다목적실과 급식실을 증축하여 왔으며, 2001년 5월 31일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 개최하였다. 사진은 1953년 학교모습이다.
[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문학초등학교
등록번호
NBG0772
시대
2000년대
지역
미추홀구
키워드
문학초
※저작자가 존재하는 자료입니다.※ 본교는 1917년 09월 20일 부천공립보통학교 설립되어 1946년 인천문학공립국민학교에 이어 인천문학초등학교로 개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문학초등학교 내에는 찬란한 역사와 전통을 말해주는 옛 인천도호부청사가 보존되어 선조들의 생활모습을 가까이에서 엿볼 수 있고, 바로 그 옆에는 수령이 600년이 넘는 은행나무가 보호수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더욱이 학교 주변 일대는 조선시대 공립교육기관인 인천향교가 자리잡고 있어서, 생활 속에서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올바르게 체득할 수 있다. 학교의 특색을 살려 예절실과 역사관을 개관하여 다양한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용유초등학교
등록번호
NBG0771
시대
2000년대
지역
중구
키워드
용유초
※저작자가 존재하는 자료입니다.※ 1935년 12월 12일 용유공립보통학교로 개교(4년제 2학급)한 이래 1995년 3월 1일 인천용유초등학교로 명칭 변경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03년 학교 재배치 공사 완료 후 현재의 모습이다. 사진은 1970년대의 학교 모습이다.
게시판 목록
번호 서명 등록번호 시대 지역 키워드
145[사진으로 보는인천교육 반세기] 영화초등학교[사진으로 보는인천교육 반세기] 영화초등학교NBG07472000년대동구영화초
144인천명소 인천사정소학교 전경인천명소 인천사정소학교 전경NBG17181900년대중구신흥초,인천공립심상소학교,인천사정소학교
1432024년 길 위의 인문학 사진: 흔적의 노래 : 인천의 역사와 기억을 담은 이야기2024년 길 위의 인문학 사진: 흔적의 노래 : 인천의 역사와 기억을 담은 이야기NBG17652000년대중구
1422023년 읽고 걷고 쓰는 마을 아카이빙2023년 읽고 걷고 쓰는 마을 아카이빙NBG17642000년대중구
1412023년 길 위의 인문학 사진: 오래된 미래, 함께 만드는 새로운 과거2023년 길 위의 인문학 사진: 오래된 미래, 함께 만드는 새로운 과거NBG17632000년대중구
1402022년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2022년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NBG15892000년대중구
1392021년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2021년 사진으로 기록하는 마을 아카이빙NBG15882000년대중구
138조선철도노선안내(朝鮮鐵道路線案內)조선철도노선안내(朝鮮鐵道路線案內)OLG1391900년대중구철도
137현장문제 제2호현장문제 제2호OLG1371900년대계양구
136朝鮮の敎育朝鮮の敎育NBG15561900년대계양구
135교대부국교대부국NBG1317발행년 불명계양구경인교육대학부속초등학교,인천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
134창영초교창영초교NBG1315발행년 불명동구창영초,인천부공립보통학교
133인중과 제고인중과 제고NBG1311발행년 불명중구제물포고등학교,인천중,인천공립중학교
132영화학교 집총 훈련영화학교 집총 훈련NBG1308발행년 불명동구내리교회,영화초,영화학당
131영화학교영화학교NBG1305발행년 불명동구내리교회,영화초,영화학당
130인천상업중학(인상)인천상업중학(인상)NBG1304발행년 불명중구인천고,인천공립상업학교,한성외국어학교,인천일어학교,인천남공립상업학교
129인하공업전문학교인하공업전문학교NBG1301발행년 불명미추홀구인하공전
128[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합일초등학교[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합일초등학교NBG07732000년대강화군합일초
127[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문학초등학교[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문학초등학교NBG07722000년대미추홀구문학초
126[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용유초등학교[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 용유초등학교NBG07712000년대중구용유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