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유래와 역사에 대해 알아보세요.
인천의 최초 명칭은 미추홀(彌鄒忽)이다. 이 지역이 하나의 행정구역으로 등장하는 것은 고구려 장수왕 때(475)로 매소홀현(買召忽縣)이었다.
이후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경덕왕 때 한자식으로 바뀌어 소성현(召城縣)이 되었다.
고려 숙종(1095~1105) 때 숙종 어머니의 내향(內鄕)이었던 관계로 경원군(慶源郡)으로 개칭·승격되었다. 그 뒤 인종(1122~1146)때에 순덕왕후 이씨의 내향이라 하여 인주(仁州)로 승격되었는데 이자겸(李資謙)의 난으로 인주 이씨가 몰락하다시피 하였으나 공양왕 2년(1390)에 이르러 다시 경원부로 환원되었다.
그것은 ‘칠대어향(七代御鄕)’이라 하여 문종에서 인종에 이르는 7대 동안 고려왕실과 관련이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왕조가 개창되면서 경원부는 다시 인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태종 13년 주(州)자를 가진 도호부 이하의 군·현 명을 산(山), 천(川) 두 글자 중 하나로 개정토록 하여 현재의 인천으로 탄생하게 되었고, 그날 (1413년 10월 15일)을 기려 ‘인천시민의 날’ 이 제정되었다.
본 저작물은 '인천광역시청'에서 '2014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인천의 유래와 연혁(작성자:문화재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광역시청, http://www.incheon.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시대 | 인천 | 부평 | 강화 | |
---|---|---|---|---|
삼국시대 | 백제 | 미추홀 | - | 갑비고차 |
고구려 | 매추홀 | 주부토 | 혈구군 | |
통일신라 (676~935) | 소성현 | 장제군 | 해구군 | |
고려 (918~1392) |
|
|
|
|
조선 (1392~1910) |
|
|
|
|
근대 (1895~1945) | 인천부 |
|
|
|
현대 (1945~현재) |
|
1995년 인천광역시 편입 |
강화도조약의 체결로 인천은 부산, 원산의 뒤를 이어 1883년에 세 번째로 개항되었다. 개항 후 인천에는 많은 외국인이 들어와 생활하였고, 이들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접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화 과정을 체험하는 도시가 되었다.
제물포 개항은 인천지역사회에 또 다른 시련을 가져왔다. 외세의 진입과 이질적 문물의 유입에 따른 갈등에서도 그러하였지만, 그 보다는 일본이 원인천을 한국식민지 경영의 발판으로 삼은 데 있었다. 청·일전쟁(1894~1895)과 노·일전쟁(1904~1905)을 치르면서 한국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확보한 일본은 우선 제물포와 한성(漢城)을 잇는 도로와 철도를 부설하고(1899) 이들과 연계되는 항만의 확장·수축에 착수하였다(1906). 그리고 이어 일본의 식량(쌀)과 공업원료(주로 목면)를 확보하기 위한 토지조사사업(1910~1918)과 산미증식계획(1920년대), 수리조합 설립(부평수리조합: 1923) 등을 추진하였다.
인천지역사회는 이 과정에서 다른 지역에 앞서 많은 토지와 인력을 수탈당하고 대부분의 농민이 몰락하였다. 그리고 몰락한 농민은 저임금의 노동자와 가계보조적 노동인구(부녀자·아동들)를 증대시켜 조선인의 노동 여건을 더욱 악화시켰다. 인천지역사회에 통곡과 신음 소리가 가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일본은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도시시설을 집중 투자하여 일본인에게만 유리한 일본인 중심의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1914). 인천지역에서는 자연 제물포를 중심으로 한 원인천사회가 그 초점이 되었다. 앞서 경기도 인천군에서 인천부로(1910) 바뀌었던 원인천사회는 이 개편에서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으로 양분되었다.
인천부는 일본인 시가지를 중심으로 부역(府域)이 크게 축소되고, 나머지 농·어촌지역은 부평을 중심으로 신설된 부천군(富川郡)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각국공동조계와 청국전관조계도 모두 철폐되고, 부의 하부 행정조직도 모두 일본식[정(町), 정목(丁目)]으로 바뀌었다. 인천부는 완전히 일본인 도시로 변하였고, 전통적인 생활권역과 공동체 질서는 파괴·약화되었다.
본 저작물은 '인천광역시청'에서 '2013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개항이후 인천(작성자:문화재과)'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인천광역시청, http://www.incheon.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